IT

Dockerfile을 기반으로 한 Docker 이미지 생성 과정(feat. 이미지를 왜 만들어요?)

jaewon_sss 2025. 3. 17. 17:09
반응형

Dockerfile을 기반으로 한 Docker 이미지 생성 과정

이 Dockerfile을 이용해 Docker 이미지를 빌드하려면, 해당 Dockerfile이 위치한 디렉토리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:

docker build -t my-nginx-image .
 
  • docker build -t my-nginx-image .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(.)에서 Dockerfile을 읽고,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며, 생성된 이미지에 my-nginx-image라는 태그를 붙입니다.

 

 

컨테이너 실행

이미지가 빌드된 후, 해당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:

 
docker run -d -p 8080:80 my-nginx-image
  • -d: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합니다.
  • -p 8080:80: 호스트 시스템의 8080번 포트를 컨테이너의 80번 포트로 연결하여, 브라우저에서 http://localhost:8080으로 접속하면 Nginx 웹 서버를 통해 페이지를 볼 수 있게 합니다.
  • my-nginx-image: 실행할 Docker 이미지의 이름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Docker 이미지를 만드는 이유

애플리케이션의 환경을 일관되게 설정하고, 배포, 테스트 및 실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. 구체적으로 Docker 이미지를 만드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
 

 

 

1. 일관된 개발 환경 제공

  • 문제: 개발자마다 사용하는 운영 체제, 라이브러리 버전, 패키지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차이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 환경과 실제 운영 환경에서 다르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: Docker 이미지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과 그 의존성, 환경 설정 등을 하나의 이미지로 묶을 수 있습니다. 이 이미지는 어디서든 동일하게 실행되므로, 환경에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Ubuntu 기반에서 실행되는 Nginx 웹 서버를 Docker 이미지를 사용하여 배포하면, 개발, 테스트, 프로덕션 환경에서 동일한 환경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2. 애플리케이션의 격리된 실행 환경

  • 문제: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충돌하거나, 호스트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: Docker는 컨테이너라는 격리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합니다. 이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격리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Docker 컨테이너 내에서 실행되는 Nginx 웹 서버는 호스트 시스템의 다른 애플리케이션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실행됩니다.

 

 

 

3.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확장 용이

  • 문제: 전통적인 서버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배포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: Docker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 이미지는 한 번만 빌드해두면, 어디서든 빠르고 일관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여러 컨테이너를 쉽게 복제하거나 확장할 수 있어, 트래픽이 증가할 때 쉽게 수평 확장(scaling)을 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Nginx 웹 서버를 여러 대의 컨테이너로 배포하여 로드 밸런싱을 구현하거나, 빠르게 새로운 서버 인스턴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4. 자동화된 테스트 환경

  • 문제: 각기 다른 개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할 때, 환경 설정에 따라 테스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: Docker 이미지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을 자동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. Docker는 컨테이너를 손쉽게 생성하고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, 테스트를 위한 환경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종료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CI/CD 파이프라인에서 Docker 이미지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빌드하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5. 애플리케이션과 그 의존성 관리

  • 문제: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, 설정 파일, 환경 변수 등을 관리해야 합니다. 이 모든 것들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: Docker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, 의존성, 설정 파일 등을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패키징합니다.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명시적으로 관리하고 쉽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Nginx 웹 서버 이미지를 만들 때 apt-get을 사용하여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고, 필요한 파일들을 이미지를 포함시킴으로써, 이미지를 실행하는 곳에서는 모든 환경이 자동으로 준비됩니다.

 

 

 

6. 운영 환경에 맞는 배포

  • 문제: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환경(개발, 테스트, 프로덕션 등)에서 실행해야 할 때, 환경마다 설정이 달라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: Docker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환경을 묶은 패키지이므로,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어디서든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운영 환경에 맞는 설정을 손쉽게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개발 환경에서는 로컬 서버에서 실행하고,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. 두 환경에서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일관성 있게 동작하게 됩니다.

 

 

 

7. 리소스 효율성 및 빠른 실행

  • 문제: 전통적인 가상화 방법은 시스템 리소스를 많이 소모하고,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.
  • 해결: Docker 컨테이너는 가벼운 가상화 방식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적게 소모합니다. 또한, 컨테이너는 빠르게 실행되고, 저장소와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,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결론

Docker 이미지를 만드는 이유는 주로 일관된 환경을 보장하고, 배포와 확장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입니다. Docker 이미지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어디서든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고,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어, 개발, 테스트, 배포, 운영 등 여러 단계에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.

반응형